본문 바로가기
스터디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AI 스킬 10가지 (2025년 7월 버전)

by na-star 2025. 7. 25.
반응형

 

 

AI 기술이 정말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챗GPT가 나온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수많은 AI 툴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런 시대에 도태되지 않고 앞서나가려면, AI를 제대로 활용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Lovart.ai를 이용하여 만든 이미지

2025년 버전 AI 스킬 10가지

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Prompt Engineering

AI 모델(ChatGPT, Gemini, Claude 등)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는 스킬이다. 단순히 질문하는 것을 넘어, AI가 정확하고 유용한 답변을 생성하도록 체계적인 지시문을 작성하는 것이 기술!

활용POINT: 프롬프트는 AI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 '좋은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은 단순히 명령어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AI의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역할(Role)을 부여하며, 명확한 제약 조건(Constraints)과 예시(Examples)를 제공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얻어내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마케팅 기획안을 작성해 줘' 대신 '너는 10년 경력의 마케팅 전문가야. 20대 여성 소비자를 타겟으로 한 신제품 출시 마케팅 기획안을 작성해 줘. 기획안에는 시장 분석, 타겟 고객 정의, 마케팅 채널 전략, 예상 성과 지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해. 긍정적이고 활기찬 톤으로 작성해 줘.' 와 같이 구체적인 지시를 통해 훨씬 더 실용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2. AI 워크플로우 자동화 AI Workflow Automation

Zapier, Make, n8n과 같은 자동화 툴을 활용하여 여러 애플리케이션과 AI를 연결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는 스킬이다.

활용POINT:  AI 워크플로우 자동화는 단순 반복 업무를 줄여 여러분이 더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 예를 들어, 고객이 웹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슬랙(Slack)에 알림이 오고, 동시에 AI가 문의 내용을 요약하여 담당자에게 이메일을 보내는 워크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이메일이 오면 AI가 자동으로 답변 초안을 작성하고, 여러분은 내용을 검토하고 보내기만 하면 되는 형태로 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3. AI 에이전트 AI Agents

LangGraph, AutoGen, CrewAI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여러 AI 모델을 조합해 특정 목표를 수행하도록 만드는 스킬이다.

활용POINT:  AI 에이전트는 하나의 AI 모델이 아니라, 여러 AI 모델(Agent)이 서로 협력하여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새로운 제품에 대한 시장 조사 보고서'를 만드는 작업을 가정해보자. 한 에이전트는 웹을 검색하여 최신 트렌드를 조사, 다른 에이전트는 경쟁사 분석을 수행, 또 다른 에이전트는 이 두 정보를 바탕으로 보고서 초안을 작성. 최종적으로 편집 에이전트가 보고서를 다듬어 완성하는것으로 마치 전문가가 팀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과 유사하다.

 

4. 검색 증강 생성 RAG -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AI 모델을 여러분이 가진 특정 데이터(사내 문서, PDF, 데이터베이스 등)와 연동해 답변을 생성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활용POINT:   RAG는 AI 모델의 환각(Hallucination) 현상을 줄이고, 최신 정보나 비공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기술이다. AI 모델은 학습 데이터에 없는 내용은 답변할 수 없다. 하지만 RAG를 활용하면 '우리 회사의 2분기 영업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과 같이 회사 내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이는 특히 기업 내부 정보 검색, 고객 서비스 챗봇, 지식 관리 시스템 구축 등에 매우 유용하다.

 

5. 멀티모달 AI Multimodal AI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이해하고 생성하는 고급 AI 모델(GPT-4o, Gemini, Claude 3 등)을 활용하는 스킬이다.

활용POINT:  멀티모달 AI는 단순 텍스트 업무를 넘어 시각적/청각적 자료를 다루는 데 혁신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회의록 이미지를 AI에 보여주며 '이 회의 내용의 핵심 요약을 작성해 줘'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품 이미지를 보여주며 '이 제품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 게시글 초안을 작성해 줘'라고 지시할 수도 있습니다. 시각 자료를 분석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능력이 업무에 큰 도움이 된다.

 

 

 

 

6. 파인튜닝 및 AI 어시스턴트 Fine-Tuning and AI Assistants

OpenAI GPT Builder, Hugging Face, Cohere와 같은 플랫폼을 사용해 특정 도메인에 특화된 나만의 AI 모델이나 챗봇을 만드는 기술이다.

활용POINT:  파인튜닝은 범용 AI 모델을 특정 목적에 맞게 '재교육'하는 과정. 예를 들어, 특정 의료 분야의 용어를 더 잘 이해하고 답변하도록 AI를 학습시키거나, 회사의 복잡한 내부 규정을 숙지한 HR 챗봇을 만들 수 있다. GPT Builder는 코딩 없이도 나만의 AI 어시스턴트를 만들 수 있어 접근성이 매우 높다.

 

7. 음성 AI 및 아바타 Voice AI and Avatars

ElevenLabs, HeyGen, Synthesia와 같은 툴을 활용해 실감 나는 음성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말하는 아바타를 만드는 스킬.

활용POINT:  이 기술은 콘텐츠 제작, 교육, 마케팅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로 작성된 보고서 내용을 몇 초 만에 전문 성우가 녹음한 것 같은 음성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회사 홍보 영상을 제작할 때 배우를 고용하는 대신, 텍스트를 입력하면 자연스러운 표정과 음성을 가진 AI 아바타가 연설하는 영상을 만들 수 있다.

 

8. AI 도구 스태킹 AI Tool Stacking

Notion, ClickUp, Zapier, Asana 등 다양한 생산성 도구에 AI 기능을 결합해 맞춤형 AI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는 스킬이다.

활용POINT:  이 스킬은 여러 AI 도구의 장점을 조합해 시너지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Notion AI로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고, 그 결과를 ClickUp으로 보내 프로젝트 과제로 만들며, Zapier를 통해 담당자에게 알림을 보내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다. 각 도구가 가진 AI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복잡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9. AI 비디오 콘텐츠 생성 AI Video Content Generation

Runway, VEED, Opus 등 툴을 활용해 텍스트나 스크립트를 비디오로 변환하고, 음성을 추가하며, 장면을 편집해 짧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킬이다.

활용POINT:  숏폼 콘텐츠의 중요성이 커지는 시대에 필수적인 스킬. 긴 웨비나 영상이나 회의록을 AI에 입력하면, AI가 자동으로 하이라이트 부분을 추출해 자막과 배경음악을 입힌 숏폼 영상으로 만들어 준다. 이를 통해 마케팅, 교육, 내부 소통을 위한 비디오 콘텐츠를 빠르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10. LLM 관리 LLM Management

여러 LLM(Large Language Model)의 성능과 비용을 추적하고, 특정 작업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스킬이다.

활용POINT:  ChatGPT, Gemini, Claude 등 다양한 LLM이 존재하며, 각 모델은 강점과 약점이 다르고 비용도 다르다. 이 스킬은 어떤 작업에는 ChatGPT가, 다른 작업에는 Claude가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이해하고 최적의 모델을 선택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짧고 창의적인 문구 생성에는 저렴하고 빠른 모델을, 복잡하고 긴 문서 분석에는 더 강력하지만 비용이 높은 모델을 사용하는 식의 전략적 활용이 중요하다.

 

마치며~

AI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최신 논문, 트렌드, 새로운 툴을 꾸준히 학습하고 공유해야한다. 단순히 현재의 기술을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련 뉴스레터(Andrew Bolis Newsletter 등), 기술 블로그, 커뮤니티를 통해 끊임없이 학습하고 새로운 기술을 업무에 적용하려는 태도가 개인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을 넘어, 조직 전체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원동력이 된다.

이 10가지 스킬을 익히는 것은 단순히 유행을 쫓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직업 환경에서 필수적인 역량을 갖추는 일이기도 하다.

또한 어느 조직에 속하지 않게 되는 때가 되더라도 든든한 조력자들이 생기는 것이기도 하니 어떻게 보면 가장 확실한 미래를 준비하는것이기도 하다.

 

 

 

 

반응형